달콤한 사탕입니다. <br /> <br />입에 넣었을 때는 정말 달게 느껴지는데, 조금만 시간이 지나도 처음 같은 강한 단맛은 느낄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현상을 '감각 적응'이라고 부릅니다. <br /> <br />어두운 곳에 가면 처음엔 눈앞이 깜깜하지만 홍채가 빛을 조절해 곧 어둠 속을 볼 수 있듯이, 혀도 지속하는 맛에 대한 정보는 줄여서 느끼도록 설계됐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몸이, 지속하는 감각보다는 새로운 자극이나 위험에 더 집중하도록 진화한 겁니다. <br /> <br />혀 미뢰 하나에 세포 수는 100여 개. <br /> <br />이 중 맛을 느끼는 수용 세포는 절반 정도인데, 나머지 절반인 '미각교세포'는 맛 수용체가 없어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졌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살아있는 생쥐의 혀에 단맛을 직접 흘려봤더니 새로운 사실이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맛을 느끼는 세포(미각 수용 세포)의 단맛 적응 능력을, 단순한 구경꾼으로 여겨졌던 미각교세포가 적극적으로 돕고 있었던 겁니다. <br /> <br />[박가연 / 서울대 생명과학부 박사 과정 : 미각 수용 세포에서 반응을 하면서 특정 물질이 분비가 되는데, 그 분비되는 물질에 대한 수용체를 미각교세포들이 가지고 있습니다. (쥐가) 살아있었기 때문에 볼 수 있었던 거고….] <br /> <br />같은 단맛이라도 성분에 따라 맛의 감도가 달랐는데, 설탕이 다이어트 콜라에 사용되는 감미료보다 단맛 지속시간이 길었습니다. <br /> <br />[최명환 / 서울대 생명과학부 부교수 : 맛을 정량적으로 우리가 이해할 수 있으면 좋겠다, 그 중 첫 단계 혀인데, 대개 이전에는 간단할 거라고 생각했는데 저희가 연구를 해볼수록 상당히 복잡한 정보 처리가 일어나고 있고….] <br /> <br />연구진은 단맛뿐 아니라 쓴맛, 짠맛, 신맛, 감칠맛에서도 같은 '맛 적응'이 일어난다며, 각각의 맛이 뇌에 전달되기까지의 과정을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YTN 장아영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ㅣ박재상 <br />디자인ㅣ김효진 <br />자막뉴스 ㅣ이 선, 이도형 <br /> <br />#YTN자막뉴스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1121074548688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